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UI/UX]패스트캠퍼스 챌린지 7일차

UXUI DESIGN/UXUI DESIGN - STUDY

by 풀짝풀짝 2022. 1. 30. 23:24

본문

반응형

벌써 패캠 챌린지 한지 1주일이나 되었네요...

1주일이나 되었다는 것도 놀랍고,,ㅋㅋ

생각보다 많은 강의를 들었다는 것도 놀랍습니다

 

많이 듣기는 했는데 스케치 위주의 강의가 많아서 쓸 일이 없단게 아쉬울 뿐...

이래서 디자이너는 맥을 써야하는가도 많이 생각하게 되었구요 ㅎㅎ..

얼른 피그마랑 XD 강의를 들어야 겠구나요

 


1. 사용성 테스트의 이해


#테스트
전문가가 사용자를 대상으로 제품의 사용성과 전반적인 ux 품질을 측정

평가와 테스트는 다르다!
평가는 가능하지만 직접 내가 테스트를 통해서 할 수 없다.
테스트는 그에 대한 니즈를 가진 사람들이 해야하기 때문이다.

사용성 테스트는 사용자 테스트가 될 수 없다.

*사용성 테스트의 진행 방식
1. 대면
2. 비대면 


#사용성 테스트 절차
1. 시나리오와 테스크 작성 : 사용자 목적과 테스크 진행을 위한
시나리오를 작성한다.
2. 사용자 리크루팅 : 퍼소나에 해당되는 사용자 모집
3. 사전 준비 : 테스트 공간. 준비물, 착석자 등 최종 점검
4. 테스트 수행
5. 결과 분석 : 향후 개선 방향 같은거

#시나리오와 태스크 작성
: 사용성 테스트에 참가하는 사용자가 공감할 수 있는 시나리오 필요
절대 시나리오에서 단서 제공 안됨

대학교 과제 하듯 직접 실습 해보기..

직접 한번 시나리오랑 태스크를 작성해봤는데...

이게 맞는지 모르겠다 ^_^

아닌거 같습니다만..

 


* 파일럿 테스트를 통해 시나리오가 분명하고 완전한지 확인!
* 참석자들을 위해 각각의 시나리오가 담긴 인쇄물 준비
* 진행자와 관찰자들에게 인쇄 준비
* 테스트 공간은 일반 회의실 사용해도 괜춘
* 관찰자 방과 테스트 방 구분

#촬영 준비
- 스마트폰과 사용자의 얼굴을 따로 촬영하기 위한 카메라와 거치대 필요


2. 웹 로그 데이터


# 디자이너가 수집할 수 있는 데이터
1. 리서치를 통해 수집한 데이터
2. 웹 로그를 통해 수집한 데이터

# 웹 로그 데이터란?
- 웹사이트와 제품에서 발생하는 모든 상황의 데이터
- 어떤 사용자가 어떤 행동을 했고 제품 내에서 어떤 이벤트가 발생했는지 확인 가능

* 출시 된 이후에 로그 데이터 볼 수 있음

# 디자이너의 웹 로그 데이터 역할
1. 퍼소나 검증과 지속적 관찰 가능
2. 사용자가 실제 원하는 것 찾을 수 있음
3. 다양한 현상을 찾아낼 수 있음

* 사용자가 실제로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음
: 사용자가 어떤 버튼을 많이 썼는데 확인하고 개선 방향 찾기 가능

* 다양한 현상을 찾아낼 수 있음
: 사용자의 실제 행동과 연관 지어 해석할 수 있는 다양한 지표들 정량적
수치로 얻는 것이 가능

# 중점적으로 봐야할 웹 로그 데이터
1. 사용자 정보 : 인구 통계학 정보
2. 세션 : 사용자가 제품에 방문하여 이탈하기 까지의 활동 단위. 사용자 의도 파악 가능
3. 퍼널 : 설계 의도와 실제 사용자 행동 비교위해 사용
4. 히트맵 : 사용자가 자주 클릭하는 요소 시각적 확인 가능

+PV : 사용자가 앱의 한 페이지에 접속한 횟수
UV : 특정 기간 동안 1회 이상 방문한 사용자의 수
점팍성 : DAU를 MAU/WAU로 나눈 수치
사용자당 평균 수익 : 사용자가 앱이 얼마나 많은 수익을 내는지 지표

 

 

 


인증샷 총총...아이패드로 어제 써서 답답해 뒤지는 줄 알았습니답..

하지만 ㅎㅏ루 하나씩 무조건 올려야하기에 필사적으로 올리는....

통과 못되면 울 거 같아요.....

 

 

 

https://bit.ly/37BpXiC
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