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UI/UX]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7일차 - 코딩 표기법
안녕하십닉까
음주 후 쓰는 패캠챌린지 신선해요 아주
내가 이거쓸려고 술 덜먹었어요 그래요..
습관이 무서운거죠 그쵸
(룸메분은 취해ㅣ있어요)
오늘은 코딩 표기법과 오픈 라이선스에 대해서 들었습니다.
아니 코딩쪽은 필기만해도 글자수가 아주 많이 채워지네요..?이게뭔,,
근데 이론적인거여서 실습이 아직없어서 ,, 인증샷을 찍었슴다
표기법
-> html에서 권장되는 방법, java script에서 권장되는 방법으로 나눠지고 어떻게 쓰냐가 매우 중요
1. dash-case(kebab-case)
: 데쉬(-)라는 기호를 사용해서 여러가지를 조합하는 방법
데쉬를 하이클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. 각각의 단어들이 띄워쓰기로 구분이 되어져여하는데 데쉬(-)가 들어가야함. 하지만 컴퓨터는 데쉬가 들어와도 하나의 단어로 인식을함. 하나의 단어로 인식하게 데쉬를 중간중간 끼워주는 것,
* 케밥 케이스는 케밥이 꼬챙이에 꽂혀져 있으니까 케밥이라고 부르는 것
2. Snake_case : '_' 언더바라는 기호를 사용하고 있는 방법
데쉬기호가 아닌 언더바 기호로 사용하여 만들어내는 방법
html과 css에서 사용한다.
3. camelCase : 별도의 기호 사용안하고 대문자와 소문자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법. 각자의 구분하는 단어에는 첫번째에 대문자를 사용한다.
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(PascalCase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하는 방식)
*caml은 낙타를 의미한다. 대문자가 볼록볼록 올라와서 낙타가 되었다.
* 첫번째 문자는 대문자로 만들지 않는다.
4. PascalCase : 첫번쨰 글자가 대문자이다. 이것이 camelcase와의 다른점이다.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된다.
Zero-based Numbering
0기반 번호 매기기!,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'0'부터 숫자를 세서 시작한다. html과 css는 0부터 세지 않는다. 자바스크립트 같은 거에서 0부터 쓴다.
- 1. fruits 에서 [ ] 여기 안에 순서대로 문자를 쓴다.
2. consoloe에서 fruits[0]을 하면 0번째(1번째)숫자에 있는 것이 나타내진다.
=> 이걸 통해 개발자는 숫자를 0부터 센다는 차이를 꼭 알아줘야한다.그래야 개발과 디자이너의 소통이 편하다.
- 일요일이 0부터 시작한다. 시작은 일요일이여서 0으로 시작
오픈소스 라이선스
: 어떤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 필요한 소스 코드나 설계도를, 누구나 접근해서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것.
( 돈을 지불해도 되지않는 무료가 아니라, 지불해도 되지 않아도 상관은 없지만 특정한 상황에 지불해야할 수가 있다.)
디자이너들이 다 무료라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이 아니다~
Opensource.org에 가서 한번 봐보세요
1. Apache License :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자체 소프트웨어 적용하기위해 만든 라이선스 => 개인적/상업적 이용 배포 수정 특허 신청이 가능
2. MIT license : 매사추세츠공대에서 소프트웨어 학생들을 위해 개발한 라이선스, 개인소스에 이 라이선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표시만 지켜주며되며, 나머지 사용 제약 XXX
3. BSD License : BSD는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개발한 라이선스, MIT와 동일조건
=> 꼭 저작물에 되있는 라이선스 확인 후 사용하기
4. Beerware : 오픈 소스 개발자에게 맥주를 사줘야하는 라이선스..? 뭐지이게........난 맥주 싫은데
오픈소스 라이선스에 꼭 들어봐보시라고 해서
들어간 인증샷(?)
사실 검색바가 없어서,, 어디다가 알려주신 라이선스를 입력해야할지 못찾겠음...
이건 인증샷,,<!
저 출장끝나고 복귀하면 열심히 들을게요,,,