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UI/UX]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0일차
오늘은 코딩에 대해 이해가 안되었었던 외계어 같은 기본 문법들을 정리해보았다.
html : 문서의 전체 범위
어디에서 시작하고 어디에서 끝나는지 알려주는 역할!
head : 문서의 정보를 나타내는 범위
- 웹 브라우저가 해석해야 할 제목, 설명, 파일 위치, 스타일 같은 보이지 않는
정보를 작성하는 범위
body : 문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범위
- 사용자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로고헤더푸터네비메뉴버튼 같은 웹페이지의 보여지는 구조를
작성하는 범위
=> html은 정보의 영역과, 구조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.
<!DOCTYPE html> : 문서의 html 버전을 지정하는 것
총 6개의 버전을 가지고 있지만, html5가 표준이자 최신이다.
- doctype:마크업 언어에서 문서형식을 정의하며 웹브라우저가 html버전을
어떻게 해석하면 되는지 알려주는 용도이다.
*XHTML:public 어쩌고저쩌고로 시작할 수 있다.
<meta> : html 문서의 제작자, 내용, 키워드 같은 여러 정보를 검색엔진이나 브라우저에
제공 (name, content, charset) -> 개발자들이 주로함 어떤 역할인지 정도 알아두기
1.charset(character set) : 인코딩 방식이 어떻게 나오는가, 문자인코딩 방식
2.title:문서의 제목을 정의 => 웹브라우저 탭에 표시된다.
3.link:빈태그라는 것을 의미, 외부문서를 가져와 연결할 때 사용한다.
- rel : 가져올 문서와의 관계, 현재 html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
- href : 가져올 문서의 경로, 외부 문서를 어디로 가져오는지, 아이콘이면 어딘지(대부분 css파일)
<style>:스타일을 html문서 안에 작성하는 경우에 사용
<script>
1.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가져오는 경우
2. 자바스크립트를 html 문서 안에 작성 하는 경우/별도의 파일을 만들어 자바 스크립트관리

한번 실제로 써보았다.
index.html을 쓰는걸 까먹어서 다시 보고았다
복습은 항상 중요하다..!

직접 했는데 head를 안닫으면 저렇게 빨갛게 뜬다
나중에 닫아줬다!!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