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이제 코딩에서 쓸만한 것들을 배웠다.
옛날에 div가 뭔지 제대로 몰랐는데 점점 제대로 알아가는 느낌,,!
실습예제들을 직접 만들면서 감을 익혀가고 있당..ㅠ.ㅠ
퇴근하고 쓰는 것은 너무 어려운 일이지만
열심히 해서 돈을 꼭 다시 받고 말거야,,,,,,!
(어쩌면 오늘이 마지막일지도 모를거란 생각을 한다...)
<div>
요소는 블록(상자)요소
: 특별한 의미가 없는 구분을 위한 요소. (Division)
1. h1 : 블록요소, 제목을 의미하는 요소 (=heading)
2. p : 블롱교소, 문장을 의미하는 요소 (=paragraph)
3. img : 인라인(글자)요소, 이미지를 삽입하는 요소 (=image)
-> 이미지에 대한 경로를 소스링크 안에 걸고, 화면에 출력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
alt라는 태그를 써 삽입할 이미지의 이름을 쓴다.
- src : 삽입할 이미지의 경로
- alt : 삽입할 이미지의 이름
<div>
<h1> 제목을 적어요 </h1>
<p> 이것은 내용입니당 </p>
<img src="ddd.jpg" alt="이미지이름">
</div>
-h나 p태그를 div로 바꿔도 상관은 없지만,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없어
수정할 떄 어려움
- 블록요소는 제목을 의미하는 요소이며 숫자가 작을수록 더 중요한 제목을 정의한다.
- h1~h4는 자주 사용/ h5부터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.
<ul>
순서가 필요없는 목록의 집합을 의미한다.
<li>사과</li>
<li>딸기</li>
<li>수박</li> => a목록 내 각 항목
</ul>
<a href>
다른/같은 페이지로 이동하는 하이퍼링크를 지정하는 요소
글자를 클릭하면 그 링크로 이동하게 만드는 것
+) target="_blank"로 하면 새로운 페이지를 열어 그 곳으로 이동시킨다.
<span> 태그를 사용하는 이유는 특정 부분만 다른 색상이나 스타일을 주기 위해서다.
<br/>은 인라인 요소,줄바꿈 태그로 줄을 바꿔준다 (break)
<input>
인라인 요소이며 블록요소이다.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요소
- input type="text" : 입력받을 데이터의 타입, 화면에 직접 입력하는 텍스트 생김
- input value="heropy!" : 화면에 입력하는 글자가 생기거나 지우고 쓸 수 있다.
- placeholder : 사용자가 입력할 값(데이터)의 힌트 ex.이름을 입력하세요!
- disabled : 입력요소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, 화면에 출력할 수 없다.
input을 활용한 예제
input이 제일 신기하고 여러가지형태가 있어 활용해보았다.
이렇게 겁나 조그맣게 나온다..(?)
이렇게 길게 적었다만,, 네모칸이 조마나타..
아마 css로 해결해야 할 것 같은 느킴 ㅎ.ㅎ..
이번엔 링크 연결시켜보는 예제!
띄워쓰기 까지 친절하게 해봐서 이렇게 나왔다.
어쩌면 오늘이 마지막일기가 될지도 몰라 아쉽기도하다.
내가 이걸 쓰지 않는다면,, 난 듣지 않을 것 같아 매우아쉽지만,,ㅠ,,
미션 꼭 성공했으면 좋겠따!!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
[UI/UX]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3일차 - 디자인 컴포넌트 (0) | 2022.02.25 |
---|---|
[UI/UX]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2일차 - main.css [div class, div id] (0) | 2022.02.24 |
[UI/UX]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0일차 (0) | 2022.02.22 |
[UI/UX]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9일차 - html : 태그, div, span (0) | 2022.02.21 |
[UI/UX]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8일차 - Codepen.io, Emmet (0) | 2022.02.20 |